티스토리 뷰
Bitnami
비트나미(Bitnami)는 가상 어플라이언스 및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스택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및 설치 라이브러리이다.
우리가 말하는 웹페이지란 PC가 아닌 웹이라는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웹이라는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개발을 해야한다.
때문에 이러한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은 위 같은 개발환경을 구축해주는 통합 툴입니다.
WAMP
WAMP는 각각 Windows, Apache, Mysql, PHP를 의미하며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적도록 한다.
우선 개발을 하기위해선 PC가 필요하다. 노트북이 될 수도 있고 PC가 될 수 있고 태블릿 또는 기타 기기가 될 수 있다.
Windows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해당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이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PC에게 일을 시키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좀 더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에다. 때문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같은 이름을 가진 프로그램 일지라도 내부 동작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동되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자신의 PC의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며 여기서 다루게 될 운영체제는 Windows이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LAMP라는 솔루션으로 제공되고 있으니 해당 글을 찾아보면 된다.
Apache
정확히는 Apache HTTP Server를 의미하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HTTP 웹 서버입니다. 웹 사이트는 실제로 다양한 방식의 소프트웨어로 제공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웹 서버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Apache(44.89%) > NginX(20.65%) > Google Web Server(7.86%) > Microsoft IIS(7.32%)
웹 서버는 무엇을 택해도 상관은 없지만 선택한 환경에 대해 정해진 규칙들을 알고 사용해야 한다. 여기선 Apache를 사용한다.
MySQL
웹은 정보를 request(요청), response(응답)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웹 페이지라는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동하는 데이터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답은 바로 웹 DB라는 어떠한 공간에 있다. 간단히 생각했을 때 내 PC가 꺼친 상태에서 파일을 열수 없듯 어떠한 활성화 된 저장소가 있어야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 DB가 웹 Database, 즉 웹 DB가 된다.
이 웹 DB시장은 꽤나 경쟁이 치열한데 기존 MySQL의 개발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던 개발자 및 사용자들이 웹 DB 시장에 끼어든 마리아DB로 대거 이동하며 주도권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아직 국내 호스팅 사이트들은 MySQL을 사용하지만, 해외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유투브, 야후, 바이두, 위키피디아, 트위터, 링크드인 등을 앞세우며 마리아DB로 이동하고 있다. 국내에선 KT, SKT, 네오위즈, 네이버, 다음, 삼성, 카카오, 티켓몬스터 등이 마리아DB로 옮겨갔다.
그렇다고 MySQL이 '나쁘다'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평범한 수준의 개발에서는 어떤 DB나 제공하는 기능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엇을 써도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위 같은 변화는 개발자들이 국내 양아치 프로그램인 알약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PHP
웹은 프런트엔드와 백엔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된다. 좀 더 쉽게 표현하자면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의 교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 서버사이드, 즉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서버사이드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가볍게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문장이라고 생각하자.
프런트엔드는 HTML, CSS(SASS) 언어가 당연시 되고 있지만 이 서버사이드 언어는 여러가지가 사용된다. 개발자들 자신의 입맛에 맞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뤄주는 툴과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출시되고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각각의 언어에 대해 소개하자면
PHP : Hypertext processor, PHP라고 불리는 이 언어는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배우기도 쉬워 다른 언어들에 비해 개발 기간도 적게 걸리고 웹 사이트를 구축하는 경우 속도가 빠릅니다.
ASP : Active Server Pages, ASP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개발한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동적인 서버 페이지로 보통 VB 스크립트와 같이 사용됩니다.
JSP : Java Server Pages, JSP는 자바를 기반으로 웹 환경에 맞게 개발된 언어입니다. 이 언어의 장점은 보안성이 우수하고 기능이 많다는 점입니다. 객체 지향을 기반으로 하기 대문에 사용자들이 익히기에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이러한 특징들 중 좀 더 쉬운 개발을 위해 여기선 PHP를 지향하는 듯 합니다.
설치방법
https://bitnami.com/stack/wamp에 접속한다.
원하는 설치버전을 선택해 다운로드한다.
로그인은 필수가 아니다. 로그인하거나 아래있는 No thanks, just take me to the download를 클릭하자.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Next를 눌러주자.
다음은 설치 옵션을 선택하게 된다. 그냥 가볍게 PhpMyAdmin을 사용하자. PHP를 사용해 표시해주는 DB관리 툴이다.
설치 경로 선택
계정 정보를 설정한다. 반드시 기억해 두자.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한다. 과감히 체크해제
Next 클릭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설치가 거의 종료되는 지점에서 이런 보안창이 나온다. 환경변수 설정 때문인 것 같으니 허용해주자.
설치가 완료되면 실행할 것인 지 묻는다. 제대로 설치되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체크를 유지하고 완료하자.
웹 페이지에 이러한 화면이 나왔다. 이게 내 로컬에 생성한 웹 사이트가 될 곳 이다.
WAMP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래밍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프로그램 Filezilla 설치 및 연결방법 (0) | 2018.03.26 |
---|---|
닷홈(dothome) 무료 호스팅 신청하기 (0) | 2018.03.26 |
Visual Studio Code(VS Code) 설치 방법 (1) | 2018.03.26 |
CodeIgniter 설치방법 (1) | 2018.03.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Remix
- alpine.js
- Azure
- Cloud
- Angular
- PostgreSQL
- Quasar
- svelte
- REACT
- Next.js
- node.js
- RDBMS
- gcp
- hoisting
- oracle
- Gatsby.js
- aws
- nuxt.js
- JavaScript
- SQLite
- 이진탐색 #중복
- vue
- vue.js
- nosql
- DevOps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